아프리카 아이들에게 육상과 축구는 꿈이다. 희망이고, 마약이며 이편이다. 선택의 여지가 없다. 가난을 벗어날 마지막 탈출구이기 때문이다. 케냐과 에티오피아 어린이들은 달리기를 꿈꾼다. 달리기를 잘하면 엄청난 돈을 움켜쥘 수 있다는 것을 어릴 때부터 보아 왔다.
나이지리아, 가나, 카메룬,알제리, 이집트, 토고, 앙골라, 코트디부아르 어린이들은 축구를 꿈꾼다. 육상보다 대상 국가와 인구가 훨씬 넓고 많다.
육상과 축구는 거의 돈이 들지 않는다. 육상은 운동화 하나면 끝이다. 아예 맨발로 달리는 아이들도 있다. 축구도 마찬가지다 공과 축구화만 있으면 그만이다. 비싼 축구화는 바라지도 않는다.
아무 신발이라도 신을 수만 있으면 감지덕지다. 가난한 아프리카 어린이들에게 육상과 축구만큼 안성맞춤인 운동도 없는 것이다.
케냐의 폴 터갓은 한때 남자 마라톤 세계 최고기록(2시간 4분 55초)보유자 였다. 세계 크로스컨트리 5연승,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대회 1만m 연속 우승, 유엔 명예대사, 출판사 사장등 다채로운 경력을 가졌다. 그는 어렸을때 하루에 한 끼 밖에 먹지 못했다.
그는 “장거리 경주는 티셔츠와 신발만 있으면 준비 끝” 이라고 말한다. 육상과 축구는 비슷한 점도 있지만 다른 점도 있다는 것이다.
축구는 축구장에 가지 않으면 할 수 없다. 또한 축구화나 축구공도 결코 싸지 않다. 가령 지단이나 호날두,호나우디뉴 등 세계에서 내로라하는 축구 선수 10만명이 동시에 한 경기장에서 게임을 할 수 있을까? 하지만 우리 마라톤 선수들은 마음만 먹으며 얼마든지 할 수 있다.
고개가 끄덕여 진다. 하지만 축구는 육상보다 훨씬 인기가 높다. 그만큼 돈을 더 벌 수 있다. 게다가 육상은 세계1인자 단 하나만 돈과 명예를 움켜쥘 수 있다. 축구는 다르다. 유럽 빅리그에서 주전 정도만 되면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육상보다 시장이 훨씬 넓고 기회가 풍부하다. 다행이 요즘 세계 각종 육상대회는 상금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마라톤의 경우 케냐선수들의 상금 헌팅종목으로 인기가 높다 육상만 잘해도 큰돈을 움켜쥐게 된 것이다.
아프리카 육상과 축구는 서구 자본의 투기 대상이다. 작은 돈을 들여 큰돈을 벌 수 있다. 돈이 있는 곳에는 파리 떼가 끓기 마련이다. 케냐, 에티오피아, 남아공의 어린 육상 선수들은 대부분 미국 자본으로 키워진다.
이탈리아나 일본 자본도 기웃거리고 있지만 그 규모는 미국과 비교가 되지 않는다. 물론 초기에 아프리카 육상을 키운 미국 선교사들의 공로도 일부 인정해야 한다.
축구는 유럽의 현대판 축구 노예 상인들이 설쳐댄다. 아프리카의 유먕한 뀸나무들을 헐값에 사서 종신 계약을 맺은 뒤 유럽 유명 클럽에게 비싸게 파는 방식이다. 하지만 빅리그 팀의 입단 테스트 통과는 하늘의 별따기다. 해마다 수천 명의 아프리카 청소년들이 유럽 리그를 노크해 보지만 이중 선택된 사람은 극히 드물다.
나머지는 유럽 뒷골목을 떠도는 불법체류자로 남는다.
아프리카는 아직도 공동체 사회 색채가 짙다. 한 동네가 온통 친척으로 이루어진 곳이 많다. 만약 그 동네에서 육상 스타나 축구 스타가 나온다면 곧바로 그곳은 부자 동네가 된다. 마을 모두가 먹고사는데 걱정이 없어진다.
신은 아프리카인들에게 가난과 동시에 월등한 신체능력을 주었다고 보아야 하는가 ? 씁쓸하다.